장 점 |
운전자에 대한 통제력, 관리력의
범위가 높다. |
차량구입 및 감가상각비, 유지관리비가 전혀 없다. |
운전자의 충성도가 높다 |
차량 및 기사에 대한 별도의 관리 인력이 필요없다. |
|
챠량의 사고시 고객사의 책임이 전혀 없다 . |
|
운전자는 고객사의 직원이 아니므로 급여인상, 퇴직금(누진) 등 각종 보상문제에 대한 부담이 전혀 없다. |
|
운전자는 수ㆍ배송 등의 물류업무에 경험이 있거나 교육훈련을 필한 후 배치되므로 수ㆍ배송시간의 단축, 신속한 업무처리능력 등 물류업무 개선에 기여한다. |
|
운전자는 운송용역계약 등의 계약에 의거 법적으로 신분을 보장 받는 한편 의무를 부담하므로 고객사의 통제, 관리가 쉽다. |
단 점 |
차량구입가격, 유지관리비, 감가상각비 등
고정비용이 많이 든다. |
운전기사에 대한 통제나 관리력이 약화될 수 있다. |
차량관리 전반에 걸쳐 별도의 인력이
필요하다. (관리 및 경비요원, 배차요원등) |
운전자가 처음 업무에 적응하기 위한 별도의 교육과 시간이 필요하다. |
차량의 사고시 별도의 비용지출이 불가피하다. |
운전기사의 소속감 부족으로 회사에 대한 충성심이 약할 수 있다. |
운송품목의 분실, 파손 등의 사유로 손실발생
시 배상 책임에 대한 사후 조치가 어렵다. |
|
차량운전자는 근로기준법 등의 법률에 의거
신분보장을 받으므로 급여 인상, 퇴직금
(누진) 등 직원 보상 문제가 따른다. |
|